육아정책연구소 2023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NEWS LETTER 배경이미지
육아정책연구소 e-뉴스레터, 11월호
지난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더보기

'영유아와 보육교직원의 안전과 웰빙을 위해 함께 협력하겠습니다' - 육아정책연구소와 어린이집안전공제회 업무협약 체결 -

'영유아와 보육교직원의 안전과 웰빙을 위해 함께 협력하겠습니다'- 육아정책연구소와 어린이집안전공제회 업무협약 체결 -

레고그룹(The LEGO Group)과 Roundtable 회의 개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와 정책포럼 개최-아동 관련 현금급여의 통합적 개편과 남겨진 과제들-

제4차 「KICCE 정책토론회」개최 - 육아가구 삶의 질 제고방안

「2024년 육아현장이 말하는 새로운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시상식 개최

더보기

[육아정책포럼] 제81호(가을호) [해외육아정책리포트] 아일랜드와 미국의 사례로 본 영유아 데이터 관리와 정책적 시사점 [토론회] 아동 관련 현금급여의 통합적 개편과 남겨진 과제들 [토론회] 육아가구 삶의 질 제고 방안
[카드뉴스] 숫자로 살펴보는 유치원 방과후 과정 [쇼츠] 도심과 지방의 교육 인프라 차이 [쇼츠] 마을이 무엇일까? 유아들의 인식 조사 [쇼츠] 학생 성장 발달을 위한 한국 늘봄학교 정책 변화
[쇼츠]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 늘봄학교 성공 전략 [쇼츠] 진짜 학부모가 원하는건? 방과후 수요 폭발 [쇼츠] 유치원 방과후에 대한 부모와 교사 생각 차이

더보기

연구인용

30대 여성 '결혼 의향' 늘었다 48.4%→60.0%로 껑충

'남다른 육아휴직 복귀율'…저출산 정책 선도하는 CJ제일제당 [기업·가족 양립사회⑤]

예약 폭발 '흑백요리사' 식당들, 이젠 '노키즈존' 논란

출생아 ‘첫만남 이용권’ 절반은 산후조리원서 썼다

[아산다문화] 자녀 돌봄, 아빠가 적극 나서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인사담당자 30%가 모른다

윤석열 정부, '망국적 저출생' 반등 가능합니까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불리한 처우' 방지규정 명확히 해야'[노동TALK]

'[뉴스워커_시사기획④] 어린이집·유치원 아동학대 개선을 위한 노력... 실효성 있나

‘저출생 여파’ 충북 사립유치원 급감

男 육휴 비중 8.5배 늘었지만…육아기 단축근무는 제자리

유보통합 '교사 자격·예산 확보' 논란 여전…'유아교육 '민영화' 시도' 비판

'금액부족'에 첫만남이용권 만족도↓…'저소득층 추가 지원해야'

문 닫는 유치원, 간판 올리는 요양원… 지역 돌봄 시설 변화

저출생 정책이 놓친 사각지대를 보라

방송, 인터뷰, 기고

'사업주는 임신해도 혜택 없어'...여성기업인 사각지대

'유보통합은 시대적 과제... 흔들림 없는 믿음으로 나아가야 한다'

일·가정 양립위한 새로운 전환점 육아지원 3법, 내용은?

전문가들 '해묵은 아이돌봄 문제, 공공 서비스 전면 개편해야'[돌봄의 늪]

'떠나는 주민들 잡자'…산후조리원 직접 만드는 지자체

'또' 스웨덴?…30대 싱글여성 셋, '복지천국' 찾은 이유

더보기

개정 0-2세 표준보육과정 컨설팅단 모집 안내

개정 0-2세 표준보육과정 강사요원 모집 안내

유치원 방과후 과정 운영 우수사례 공모전 수상자 발표

영유아 성장과 발달을 위한 미래 영유아교사 자격과 양성 체제 개편 권역별 토론회 개최(11/12, 11/15, 11/20)

2024년 제3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저출생 시대, 영유아 교육·보육기관의 지속가능 전략

레고그룹(The LEGO Group)과 Roundtable 회의 개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공동주최 정책포럼 개최

'2024년 육아 현장이 말하는 새로운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 개최

2024년 제4차 KICCE 정책토론회 개최

제5회 KICCE 육아정책 DATA 콜로키움 개최

더보기

[교육부] 제8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겸 제8차 늘봄학교 범부처 지원본부 회의 개최

[교육부] 찾아가는 교육개혁 현장간담회

[교육부] '유보통합포털' 11월 1일 개통 어린이집 입소, 유치원 입학 신청을 한곳에서

[교육부] 지방교육재정의 책무성과 효율성을 강화합니다

[교육부] 믿고 보내고, 즐겁게 다니는 2024 농어촌 참 좋은 학교

[보건복지부] 저출생 인식 변화를 위한 릴레이 캠페인 시작

[보건복지부] 소아의료 강화를 위한 보상 방안 논의

[보건복지부] 불가항력 분만 의료사고 국가책임 대폭 강화

[보건복지부] 건강한 임신기,출산 위해 임신부 신체활동은 이렇게!

[보건복지부] 출생 미신고 아동에 대한 추가 조사 추진

[보건복지부] '아동의 이야기가 아동정책 기본계획이 됩니다'

[보건복지부] 장애인학대 신고 5,497건, 학대피해자 10명 중 7명 이상은 발달장애인

[여성가족부] 양육비 채무 불이행자 149명⋯ 명단공개 등 제재조치

[여성가족부] 가족친화인증 중소·중견기업, 신용보증기금 보증료 할인 받는다

[고용노동부] 1인 이상 모든 사업장에서 육아휴직 기간 늘고, 경제적 부담 낮

[고용노동부] (참고) 단기 육아휴직 도입 및 임신 중 배우자 출산휴가·육아휴직 사용 추진

[고용노동부] 유연근무로 일·가정 양립을! 「유연근무 활용 매뉴얼」로 시작하세요

[고용노동부] 청년들, '직장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임금·복지와 유연한 근무 환경'

[고용노동부] 육아휴직급여·실업급여 부정수급 반드시 적발됩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저출생 반전 신호, “결혼 긍정, 출산의향” 모두 증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인구위기 대응을 위한 청년 조기 사회진출 활성화 방안 모색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5차 인구비상대책회의 개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4~44세 유자녀 부부 국민WE원 저출생 대책 모니터링 결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5차 저출생 대응을 위한 경제단체 민관협의체 회의 개최

[국무조정실] 제1차 인구전략기획부 설립 관련 관계부처 회의 보도자료

더보기

[일본] 어린이 누구나 통원제도의 제도화, 본격 실시를 위한 검토회

[일본] 교육·보육시설 등의 중대사고 방지책을 생각하는 전문가 회의 (제22회)

[미국] 직장여성의 모유수유 여건 조성에 관한 모성 보호법

[미국] 임신 근로자 공정 대우법 주요 내용

[독일] 독일 연방 정부는 어린이집 환경 개선을 위해 40억 유로를 추가 투자하기로 함

[독일] 어린이집의 연방주별 격차 및 통합 지원 현황

[스웨덴] 어린이와 학생 보호 강화를 위한 유치원과 학교 내 교직원 채용 제한 확대

[스웨덴] 학교 내 도서들과 독서를 위한 정부의 막대한 투자

[영국] 학교 기반 유치원, 1,500만 파운드 자금 지원으로 시작

[영국] 아이돌보미를 대한 규정 유연화

[호주] NSW 주정부 “잠금 전 확인 (Look Before You Lock) 프로그램”으로 차량 탑승 중인 아동의 안전 증진 모색

[호주] 가족수당(Family Payments) 변경: 유급 육아휴직 급여 및 육아휴직 퇴직연금 증가

한국아동패널 페이스북 로고 YOUTUBE 로고 네이버 blog 인스타그램 로고
미래 인재가 행복하게 성장하기 위해 가정·사회·국가가 함께 하는 육아정책을 만들어가겠습니다.
추천하기
[우 04535]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70 9층 TEL.02-398-7700 / FAX.02-398-7798 / E-MAIL.hdkim@kicce.re.kr / COPYRIGHT (c)KOREA INSTITUTE OF CHILD AND EDUC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