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정책연구소 2025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NEWS LETTER 배경이미지
육아정책연구소 e-뉴스레터, 7월호
지난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더보기

제2차 KICCE 정책토론회 개최: 유보통합, 질적 전환과 새로운 상상을 말하다! –유아교육·보육의 철학과 제도, 공공성 재설계를 위한 사회적 대화의

제2차 KICCE 정책토론회 개최: 유보통합, 질적 전환과 새로운 상상을 말하다! –유아교육·보육의 철학과 제도, 공공성 재설계를 위한 사회적 대화의

2025 제2차 KICCE 정책토론회 성료 - 유보통합 이후, 진짜 아이들이 행복한 교육·보육을 위한 사회적 대화 시작 -

더보기

[육아정책 Brief] 영유아기 사교육, 문제와 해결 방안은? [카드뉴스] 놀이가 배움이 되는 시간, 3~5세 방과후 특성화프로그램 [세미나] 2025년 제2차 KICCE 정책토론회 [발표영상] 2025년 제2차 KICCE 정책토론회

더보기

연구인용, 기타

“아이 키우는 부모, ‘나’ 소비는 줄어든다”... 양육비 제외 생활비, 무자녀 가구보다 30% 이상 적어

[단독] ‘4세·7세 고시’ 영유 광풍 막을 공교육 모델 만든다

완벽해야만 부모다?…육아포비아 막을 심의위 만들자[ESF2025]

8년째 제자리였던 아동수당, 드디어 확대되나… 李정부 '210조 공약' 선별 착수

아동 화재피해 10명 중 7명이 ‘집에서’

“부산에 심야 긴급돌봄 가능한 곳은 1곳뿐

소득 낮고 환경 어려울수록… 영유아 인지·언어·사회성 발달 저조

효과 없다는데…'0세 사교육' 33%, 5세 반일반 169만원 지

방송, 인터뷰, 기고

‘돌봄 공백’이 부른 비극…“저소득층 돌봄 지원 늘려야”

부모 일 나간 사이 자매 참변 충격…'나홀로 아동' 점점 늘었다

[돌봄사각 긴급진단] ① 보호자없는 집에서 화재로 세상 떠난 아이들

[돌봄사각 긴급진단] ③ 돌봄 시스템 재점검하고 접근성 높여야

부산에 심야 돌봄 가능한 곳은 1곳…11시 이후 이용자 없어

소득 낮고 환경 어려울수록… 영유아 인지·언어·사회성 발달 저조

잇단 화재로 아동 사망...심야 돌봄·예방 대책 '한 목소리'

[단독]‘방치된 아이들’ 3년째 증가… 취약 가정일수록 더 심각

아이들끼리 집 지키다 참변… 돌봄 정책 다시 세워야

[교육 리빌딩] 교육계 30년 난제 '유보통합'…새 정부 우선 과제는?

더보기

2025년 육아정책연구소 정책수요자 대상 육아정책 및 사업 제안 공모전 개최(7.7~8.31)

2025년도 상반기 연구자문위원회 개최

2025년도 제2차 KICCE 정책토론회 개최

도남희 선임연구위원 정년 퇴임식

2025년도 제1차 오픈데이 개최

더보기

[교육부] 2025년 하반기부터 어린이집 0∼2세 보육료 지원 금액이 인상됩니다

[보건복지부] 아동보호체계 강화 위한 협력의 장 마련

[보건복지부]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 비준서 기탁

[보건복지부] 보호대상아동 초기보호체계 시범사업 인천광역시 선정

[보건복지부] 화상, 수지접합, 소아, 분만, 뇌혈관 분야 24시간 진료체계 강화

[보건복지부] 해외장기체류 아동의 사회보장급여 부적정 수급 예방 위한 여권 정보 정비 추진

[여성가족부] 양육비 못 받는 한부모가족, 양육비이행관리원에 선지급 신청하세요!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토스 상생형 직장어린이집 확충을 위해 손잡다

[고용노동부] 정부인증 가사서비스, 중앙-지방 협업으로 활성화 모색

[고용노동부] 육아휴직 대체인력 채용하면 추가 지원금 받아

[고용노동부] (참고) 고용노동부, 2025년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주형환 부위원장,「2025 인구정책 심포지엄」참석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결혼과 출산에 혜택주는 주거정책”,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만든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주형환 부위원장, “인구위기 해소를 위한 5차 기본계획의 3大 추진방향, 2大 추진원칙 제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하루 천 원에 담은 결혼과 출산 희망” 주형환 부위원장, 인천시 천원주택 입주행사 참석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14차 인구비상대책 회의 개최 2025년 저출산·고령사회 시행계획 확정

[국무조정실] 광복80년 국민인식조사 결과 보도자료

[국무조정실] 국무조정실장 주재 부산 아파트 화재 아동 사망 관련 긴급 대책회의 보도자료 모두발언

더보기

[일본] 일본 교토시, 임신·출산·육아 상담 통합 체계 신설– 교토부·교토시 협력 아래 “SNS 기반 맞춤형 상담 창구” 2025년 7월부터 본격 운영

[일본] 일본 후쿠오카시, 어린이 주도 활동 지원하는 「어린이의 꿈 응원 사업」시행– 창의적이고 자발적인 활동 기획을 통해 아동의 주체성과 지역 연대를 강화

[미국] 아버지의 식습관, 자녀 식생활 형성에 장기적 영향 미쳐 – 청소년기 식습관이 향후 부모 역할과 아동의 영양에까지 영향 준다는 연구 결과 발표

[미국] 미국, 가정 기반 어린이집(FCC)의 공공 Pre-K 통합 가속화 – NIEER, FCC 통합을 위한 정책 요약 시리즈 발표… 평가·재정 구조까지 통합 기반 확대 추진

[독일] 독일 아동 4명 중 1명, 세 자녀 이상 다둥이 가정에서 성장 – 이민 배경 가족과 부모 구성 유형에 따라 자녀 수에 뚜렷한 차이 확인

[독일] 독일 연방정부, 교육 및 돌봄에 65억 유로 특별 투자 결정– 2029년까지 장기적 재정 계획을 통해 교육 인프라 및 보육 체계 경쟁력 강화

[스웨덴] 스웨덴 정부, 폭력 피해 아동·청소년 지원체계 강화 -성적착취 및 가정폭력 노출 아동을 위한 명확한 보호 및 부모 지원체계구축

[스웨덴] 스웨덴 유아교육기관 교직원의 스웨덴어 능력 강화 지침 도입 – 언어발달 격차 해소를 위한 교직원 언어 역량 기준 명확화 –

[호주] 호주 국가품질프레임워크(NQF) 개정 및 아동 안전 가이드 개요

[호주] 호주 아동 초기 발달 전수조사(AEDC): 조기 개입을 위한 국가 단위 발달 모니터링 체계

한국아동패널 페이스북 로고 YOUTUBE 로고 네이버 blog 인스타그램 로고
미래 인재가 행복하게 성장하기 위해 가정·사회·국가가 함께 하는 육아정책을 만들어가겠습니다.
추천하기
[우 04535]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70 9층 TEL.02-398-7700 / FAX.02-398-7798 / E-MAIL.hdkim@kicce.re.kr / COPYRIGHT (c)KOREA INSTITUTE OF CHILD AND EDUC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