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정책연구
ISSN 1976-6793
eISSN 2713-6094

육아정책연구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직렬 매개효과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직렬 매개효과 관련 이미지 입니다.
  • 저 자강수연, 조규판
  • 페이지23 ~ 47
  • 출판일2023-12-31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도구
가. 직무만족 척도
나. 조직몰입 척도
다. 놀이교수효능감 척도
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척도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주요 변인 간의 관계
2.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의 단일매개효과
가.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나.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3.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직렬 매개효과

Ⅳ. 논의 및 결론
1.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의 단일매개효과에 대한 논의
2.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조질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직렬 매개효과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국문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을 매개로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영유아보육・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담임교사 206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은 각각 단일매개효과가 있다. 둘째, 직무만족은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매개변인인 조직몰입과 놀이교수효능감을 차례로 거치는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증진에 필요한 다각적인 개입 방안과 정책적 지원을 모색하였다.

영문 요약문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lay teaching efficacy. A survey targe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was conducted, with 206 teachers responding to questionnaires assessi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 teaching efficacy, and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Process Macro Model 4 and Model 6 analyses were employ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for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lay teaching efficacy. Furthermore, a serial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lay teaching efficacy was observ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KICCE 자료활용

  • 조회수

    6809

  • 다운로드

    0

  • 좋아요

    0

  • SNS공유

    0

저작권 관련 링크 입니다.

육아정책연구소가 창작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