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Business Directions

2019년도 사업추진방향

01

일과 가정이 조화로운 사회 환경을 조성하고 안전하고 질 높은 가정양육 환경, 기관 보육·교육 환경을 조성하여 '부모는 안심할 수 있고 아동은 행복한' 육아를 실현하는 육아문화 선도

  • 아동학대 없는 영유아 보육·교육기관 인증사업 도입 방안 연구
  • 한국인의 육아행복 연구: 육아행복지표 개발 및 진단
  • 행복한 육아문화 정착을 위한 KICCE 육아정책 여론조사(Ⅱ)
  • 초저출산 사회 극복을 위한 육아친화마을 조성 방안 연구(Ⅰ)
  • 육아존중문화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긍정적 유아문화 인식 조성 방안 연구(Ⅰ)

02

부모의 다양한 육아 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여 육아지원에 대한 부모 만족도를 제고하고, 사각지대 해소

  • 이주배경 가족의 육아 실태와 지원 방안
  • 수요예측을 통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온종일 돌봄 공백 해소 방안
  • 장애 영유아 양육 실태 및 요구조사
  • 돌봄 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Ⅴ): 아동보호시설 영유아 양육실태 및 지원 방안
  • 영유아 부모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시범사업(Ⅱ): 한부모 및 재혼 가정을 중심으로
  • 사회적 격차 해소를 위한 빈곤가정 영유아 양육지원 방안 연구

03

영유아 발달에 대한 기초연구와 영유아 행복과 발달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 연구를 강화하여 영유아의 건강한 신체적·정신적 발달을 지원하는 국가수준의 기초 자료 축적

  •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 누리과정 효과성 분석 연구(Ⅱ): 개정 KICCE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 개발 및 시범적용

04

보육·교육 환경의 질의 핵심인 '인적·물적 환경'에 대한 충실한 분석과 지원을 통해 믿을 수 있는 영유아 교육·보육을 실현하며, 재정적 효율성 제고

  • 보육·유아교육 분야 일자리 수급 분석 및 확충 방안
  • 유치원과 어린이집 격차 완화를 위한 로드맵 연구(Ⅱ) :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 보육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어린이집 평가 연계 컨설팅 지원방안 연구(Ⅲ): 평가인증 등급 간 컨설팅 효과 비교를 중심으로

05

보육·교육비 추정 및 육아물가 산출의 정례화를 통해 육아의 경제적 부담에 대한 실증 근거 자료 축적

  • 영유아 가구의 소비 실태 및 육아물가 연구(Ⅱ)

06

육아정책의 개선과 재정적 효율화를 위한 육아정책 성과 분석과 모니터링 연구 수행

  • 육아정책 분야 재정 투자의 성과 분석 연구
  • 2018~2022 육아정책 분석과 과제(Ⅱ): 2018년 육아정책 성과분석을 중심으로

07

육아관련 환경과 사회구조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연구 사업을 추진하여 미래 육아정책을 선도하는 생태계 구축

  • 인구·사회변화 예측을 통한 2040 육아지원정책 연구
  • 영아 양육지원 수요 분석 및 종합적 대응방안

08

국제기구(OECD, UNICEF, UN 등)의 국제비교 연구 및 동아시아, 유럽과의 저출산, 육아정책 이슈 공유 및 교류 활성화

  • 동아시아 국가(한·중·일)의 저출산 쟁점과 육아정책 비교 연구(Ⅱ)
  • UN 지속가능발전 목표에 따른 ‘아이행복사회’ 지표 개발 및 정책 활용 방안
  • OECD TALIS 국제 유아교원 비교 연구 - Starting Strong Survey 분석
  • 아태지역 육아정책 개발협력 수요 분석 및 실행 방안 연구

09

다양한 정책 수요자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연구사업 추진의 현장 적용성을 강화하기 위해 현장관계자 등 각계의 요구를 반영한 연구사업 추진

  • 육아지원기관(유치원, 어린이집) 실태 분석과 요구 분석 강화: 대상별 의견조사, 심층면담, 간담회 및 자문회의 적극 수행
  • 정책 방안 마련 시 사업 수행기관 운영자 및 실무진 대상 의견 수렴 강화: 간담회 및 자문회의 실시 등
  • 정부부처와의 긴밀한 협력과 의견 수렴 통로 강화: 착수보고 자료의 부처 검토 및 정책연구실무협의회 수시 실시 등
  • 다양한 정책수요자(국민, 시민단체, 기업, 언론 등)와의 소통과 참여 확대
  • 연구 성과의 정책 지원 효과 제고를 위한 정책세미나, 열린 토론회(KICCE Active Listening)의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