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정책연구소 2023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NEWS LETTER 배경이미지
육아정책연구소 e-뉴스레터, 5월호
지난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kicce연구

더보기

영아학대 예방 및 사후관리 개선 방안: 영아 유기를 중심으로

더보기

제7대 황옥경 (黃玉京) 소장 선임

제7대 황옥경 (黃玉京) 소장 선임

더보기

산후조리원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시장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2023 KICCE Project Report Abstracts

더보기

연구인용

33년 해묵은 직장어린이집법, '일·가정 양립' 중심으로 변화 필요

'경남도 두 차례 지급 번복 ‘손주돌봄수당’ 7월 시행될 듯

인기 유치원마저 줄휴원…2020년 저출생 충격파 '시작'에 불과하다

[미래읽기] 다가온 축소사회 위기, 새로운 공간정책이 필요하다

충북교육청 ‘충북형 유보통합 발전 방안’ 마련 착수

[전국 레이더] 인구절벽에 유치원·어린이집이 사라진다

사라지는 어린이집·외식 … 시름많은 가정의 달

미혼 39% 결혼 생각 없어···남성은 경제, 여성은 역할 부담

산후조리원 韓서 생겼는데…원조는 나요 中 황당 해외수출

저출생에 유치원·초등학교도 합치나…정부 연구 착수

대한민국 저출산 예산 뻥튀기 돼 있어... 무늬만 저출산 예산 너무 많아

서울시 보육 교사 '심리 상담버스' 2배로…담당 아동 비율 개선

방송, 인터뷰, 기고

치솟는 산후조리원 비용…“4년 만에 160만 원 인상”

경단녀 피하려다가 경단녀 됐다…워킹맘 울리는 단축근무

폐업 속출에 교대 정원 감축까지…저출생의 그늘 [친절한 뉴스K]

[경제카메라]차로 40분…텅텅 빈 직장 어린이집

[저출산 시대④] 여성들의 '차일드 페널티' 직격한 연구결과...KB금융이 내놓은 대안은?

“1년치 미리 냈는데…” 학부모 울리는 유아영어학원 먹튀 폐업 실태

[따져보니] 애 낳으면 1억 지급 검토…실효성은

육아기 단축근무·시차출퇴근 효용감 커 [인구절벽 정책제언 ②-2]

육아휴직하면 끝?…남은 직원들 확실한 보상ㆍ배려해야 [인구절벽 정책제언 ③-1]

Darum hat Südkorea die weltweit niedrigste Geburtenrate

'저출생에 어린이집·유치원 줄 폐원… '1/5 사라진다'

[단독]가족돌봄휴가 '반차'로도 쓸수 있다

애 낳으면 ‘올해의 공무원상’보다 인사 가산점 더 받는다

[집중진단] 날개 없이 추락하는 출산율…한국 저출생 현상 '진짜' 이유는?

더보기

국가돌봄을 상호 보완하는 생활권 중심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아동돌봄 연구포럼 개최

더보기

[교육부] 초등교원 양성 규모 적정화 추진

[교육부] 제4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

[교육부] ‘함께차담회’, 현장 의견을 정책에 담는다 논의된 과제 54건(66%) 정책에 반영·추진

[보건복지부] 아동학대로 이어지지 않도록 학대 판단 안 된 사례도 선제적으로 지원

[보건복지부] 2023년 출생(6.1.~12.31.) 임시신생아번호 아동 45명 조사 결과 26명 생존확인, 12명 수사 중

[보건복지부] 소아·청소년 16.1% 정신장애 경험, 소아·청소년의 7.1%는 전문가 도움 시급

[보건복지부] 한 아이의 온 세상을 만드는 입양, 국가가 책임지고 준비해 나가겠습니다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유보통합 추진에 따른 애로사항 등 현장 의견 청취

[여성가족부] 「2023년 가족실태조사」 결과

[여성가족부] 직원과 가족 모두가 행복한 직장, 가족친화인증기업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 지자체와 ‘아이돌봄서비스’ 확대방안 논의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지금 신청하세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국민의 일·가정 양립을 위해,민생 속으로 더 깊이 들어가겠습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인구정책평가센터 신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24년 결혼·출산·양육 인식조사 결과 발표

[국무조정실] 국정과제 성과자료집 발간

더보기

[일본] 임부 원거리 분만 시설에 대한 교통비 및 숙박비 지원 사업 실시

[일본] 여성 복지 기금 대출

[미국] 헤드 스타트 프로그램 이용 자격 요건 완화

[미국] 부모의 영유아 보육·교육 기관 검색 경험에 대한 보고서

[독일] 어린이집 환경의 질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가 다음 단계로 접어듬

[독일] 가족 구조와 이혼 가정의 아동돌봄 현황 조사

[스웨덴] 유치원 내 감염을 줄이기 위한 지침 개정

[스웨덴] 육아휴직 수당에 대한 보다 통일된 규정 제안

[영국] 보육부문 확대에 관한 정부의 발표

[영국] Sure Start, 취약계층 아동의 GCSE 결과를 크게 향상시킴

[호주] 퀸즐랜드, 유아교육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실시

[호주] 빅토리아주, 유아기 STEM 프로그램 소개

한국아동패널 페이스북 로고 YOUTUBE 로고 네이버 blog 인스타그램 로고
미래 인재가 행복하게 성장하기 위해 가정·사회·국가가 함께 하는 육아정책을 만들어가겠습니다.
추천하기
[우 04535]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70 9층 TEL.02-398-7700 / FAX.02-398-7798 / E-MAIL.hdkim@kicce.re.kr / COPYRIGHT (c)KOREA INSTITUTE OF CHILD AND EDUC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