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정책연구소 2023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NEWS LETTER 배경이미지
육아정책연구소 e-뉴스레터, 12월호
지난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더보기

2024년 제3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개최 - 저출생 시대, 영유아 교육‧보육기관의 지속가능 전략 -

2024년 제3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개최 - 저출생 시대, 영유아 교육‧보육기관의 지속가능 전략 -

유보통합 시대의 담론 재정립을 위한 첫걸음 - 2024년 제1차 KICCE 육아정책 네트워크 포럼 성료

2024년 제7차 정책토론회 개최- 장애부모 힘 더하기 그리고 나아가기-

2024년 제4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개최 - 정부조직법 개정 이후, 유보통합 R&D 발전 방안 -

영유아 교육·보육 통합법 제정의 방향과 과제 ‘제8차 KICCE 정책토론회’개최 - 육아정책연구소 주관, 교육부, 조정훈‧안상훈 의원실, 한국공법학회 공동 주최-

더보기

[육아정책포럼] 제81호(가을호) [해외육아정책리포트] 아일랜드와 미국의 영유아 데이터 관리와 정책적 시사점 [KICCE Policy Brief] The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n Infant Abuse in South Korea [토론회] 영유아 성장과 발달을 위한 미래 영유아교사 자격과 양성 체제 개편 권역별 토론회 (영남·강원권)
[토론회] 영유아 성장과 발달을 위한 미래 영유아교사 자격과 양성 체제 개편 권역별 토론회 (호남·제주권) [토론회] 영유아 성장과 발달을 위한 미래 영유아교사 자격과 양성 체제 개편 권역별 토론회 (충청권) [토론회] 장애부모 힘 더하기 그리고 나아가기 [심포지엄] 저출생 시대, 영유아 교육·보육기관의 지속가능 전략
[심포지엄] 정부조직법 개정 이후, 유보통합 R&D 발전 방안 [포럼] 2024 유아교육 포럼: 유보통합기관 입학기준의 합리적 방안 모색

더보기

연구인용

“모든 아이 동등하게 양육 환경 구축… 미래 희망 느끼게 해야” [심층기획-저출생 시대 ‘결혼 공포증’]

‘문 닫는 법인 어린이집’ 잔여재산 “유사목적 출연해야”

조리원비만도 부족한 첫만남이용권…“300만원 지원금액 확대해야”

쌍둥이가족 행복 네트워크 출범…10개 기관 모여 육아 지원

“유보통합, 목표는 상향 평준화… 지역별 맞춤 서비스 제공을” [맞춤형 유아교육·보육이 온다]

“SNS에올리는 사진들 자녀들이 허락 했나요?”

출산·육아 더 힘든 장애 부모…“실질적 양육 지원 필요”

교육부, 표준보육과정(0~2세) 개정 확정

“아동출입제한업소 확산 방지”… 전국 첫 조례 제정한 제주

방송, 인터뷰, 기고

타인이 올린 아동정보 게시물에도 삭제요청권을!

예산 경쟁에…복지·여가 돌봄사업 주먹구구

재원 방안도 없는 ‘유보통합’…기준 마련한다지만 현장은 혼란 우려

저출생 반등세 살릴 '육아지원 3법' 내년 시행

아빠는 아기 기저귀 갈면 안 되나…여자화장실에 쏠린 교환대

[이슈체크] 저점 찍던 출산율 9년 만에 드디어 '반등'…지속될 수 있을까?

교사 자격·재원 대책부터 현장 우려 불식이 첫 과제[유보통합 성공할까]

교육부, 유보통합 앞서 0~2세 표준보육과정 개정… 영아 교육 포함은 여전히 의문

더보기

[행사안내] 2024년 제4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2024년 제4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 정부조직법 개정 이후, 유보통합 R&D 발전 방안

[행사안내] 2024년 제8차 KICCE 정책토론회: 영유아 교육·보육 통합법 제정의 방향과 과제

[행사안내] 「영유아 교육·보육 통합기관 설립·운영기준(안)」 공청회

[행사안내] 영유아의 평등한 교육·보육 지원을 위한 교원 자격·양성체제 개편 의견수렴 공청회

2024년 제3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개최

협력적 거버넌스 콜로키움 개최

영유아 성장과 발달을 위한 미래 영유아교사 자격과 양성 체제 개편 권역별 토론회 개최

2024년 제1차 KICCE 육아정책 네트워크 포럼 개최

제6회 KICCE 육아정책 DATA 콜로키움 개최

2024 유아교육 포럼 개최

(가칭)영유아학교 제1차 포럼 개최

2024년 제7차 KICCE 정책토론회 개최

더보기

[교육부] 현장에 뿌리내린 교육개혁, 이제 국민이 체감하는 결실로

[교육부] 제9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

[교육부] 모든 아이를 위한 공정한 시작, 유보통합기관 입학기준 마련 정책 토론회 개최

[교육부] 2025년, 교실에서 마주할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을 실현

[교육부]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0~2세) 확정 발표

[교육부]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학교 안전사고 예방 및 관리체계 구축

[보건복지부] 아동학대 예방, 아이를 있는 그대로 존중하는 것이 시작입니다

[보건복지부] 인구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 함께 만드는 미래

[보건복지부] 국가·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입양체계 시행 위한 세부 절차 및 기준 규정

[보건복지부] 저출생 추세 반전, 사회 인식 변화에서 시작된다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소관 13개 개정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보건복지부] 내년부터 제왕절개 분만 시 진료비 본인부담 무료(5%→0%)

[보건복지부] 나를 위한 128가지 복지서비스, 복지멤버십이 알려드려요

[보건복지부] 아동 중심 정책 펼친 우수 지방자치단체 시상

[여성가족부] 맞돌봄이 만든 특별한 이야기

[여성가족부] 청소년 한부모, 미혼모‧부 등 지원 강화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

[여성가족부] 아이돌봄 경험과 지혜 나눔의 장 열렸다

[고용노동부] 중증 장애아동의 부모는 육아휴직 1년 6개월로 연장

[고용노동부] “유연근무는 이렇게” 국민 여러분이 직접 제안해주세요

[고용노동부] 삶의 행복과 일터의 성과가 함께하는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203개소 선정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고용상 성차별 개선 및 양성평등 일자리 환경 조성 방안 논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저출생 정책 모니터링단 국민WE원회, ‘생애주기 맞춤형 정책제공 플랫폼 구축’ 및 ‘아픈 아이 돌봄 위한 정책 마련’ 제안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국민WE원회 저출생 대책 평가 및 인식 조사 결과 발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6차 인구 비상대책회의 개최

더보기

[일본] 한부모 가정 등 일상생활 지원사업

[일본] 휴일 보육

[미국] 보건복지부, 산모 정신 건강 상담전화 홍보 캠페인 시작

[미국] 바이든 행정부, 산모 건강 관련 새로운 정책 발표

[독일] 앞으로 임산부 괴롭힘은 범법 행위로 처벌됨

[독일] 부모 가이드를 통한 가족 지원

[스웨덴] 교육청의 복지 분야 종사자 대상 언어 교육 임무 연장

[스웨덴] 지속되는 높은 초등학교 결석률과 정부의 대응 방안

[호주] 더 좋고 공정한 학교를 위한 협의서 2025-2034

[호주] 유아교육·보육 시설 추가 설립을 위한 2천만 달러 투자 착수

한국아동패널 페이스북 로고 YOUTUBE 로고 네이버 blog 인스타그램 로고
미래 인재가 행복하게 성장하기 위해 가정·사회·국가가 함께 하는 육아정책을 만들어가겠습니다.
추천하기
[우 04535]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70 9층 TEL.02-398-7700 / FAX.02-398-7798 / E-MAIL.hdkim@kicce.re.kr / COPYRIGHT (c)KOREA INSTITUTE OF CHILD AND EDUC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