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정책연구
ISSN 1976-6793
eISSN 2713-6094

육아정책연구

부모가 인식한 초등학생 자녀의 부정적 미디어 영향에 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부모가 인식한 초등학생 자녀의 부정적 미디어 영향에 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관련 이미지 입니다.
  • 저 자안선경, 정익중
  • 페이지3 ~ 26
  • 출판일2024-12-31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분석자료
2. 주요변수
가. 종속변수
나. 독립변수
다. 결과변수
3. 자료분석
가. 잠재프로파일분석
나. 분석절차

Ⅲ. 연구결과
1. 부정적 미디어 영향 잠재프로파일 분류
2. 부정적 미디어 영향 잠재프로파일의 특징
3. 부정적 미디어 영향 잠재프로파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 부정적 미디어 영향 잠재프로파일 영향요인
5. 부정적 미디어 영향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미디어 이용 제한의 차이

Ⅳ. 논의 및 결론

Ⅴ.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국문 요약문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한 초등학생 자녀의 부정적 미디어 영향 잠재프로파일 유형화하고, 영향요인과 부모의 미디어 이용 제한 방식을 살펴보았다. ‘2023 어린이 미디어 이용조사’ 중 초등학교 1~4학년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 806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영향형 집단(23.2%), 평균형 집단(40.6%), 고영향형 집단(36.2%)의 3개 잠재프로파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아동요인은 성별과 학년, 미디어 이용 자기조절 수준, 게임 이용 시간이, 가정 및 부모요인은 부모 연령, 미디어 이용 감독, 미디어 이용 지도 및 대화, 미디어 교육 경험 유무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는 콘텐츠의 질보다는 이용 시간의 양에 초점을 두어 자녀의 미디어 이용을 제한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스마트폰 이용 시간 제한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의 부정적 미디어 영향의 이질성을 규명하고, 아동친화적 미디어 환경 조성을 논의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요약문

This study classified the latent profiles of negative media influence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perceived by parents and verified the influencing factors. It also verified how parents controlled their children's media use among group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from 806 parents raising children in the first to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2023 Korean Children and Media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hree latent profiles are classified: low influence (23.2%), average (40.6%), and high influence (36.2%). Second, among the latent profile influencing factors, sex, grade, level of self-regulation of media use, and game-use time were verified as factors related to children. Family- and parent-related factors were identified as parental age, media use supervision, media use guidance and conversation, and media education experience. Third, parents tended to control their children's media use by focusing on the quantity of time rather than the quality of cont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verifies the heterogeneity of negative media influence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child-friendly media environments."

KICCE 자료활용

  • 조회수

    1246

  • 다운로드

    0

  • 좋아요

    0

  • SNS공유

    0

저작권 관련 링크 입니다.

육아정책연구소가 창작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초미세먼지가 아동과 양육자가 함께 하는 주말 실외활동 시간에 미치는 영향
주송희
2025.01.02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